성공하는 사람, 성취욕구 크고 자기관리 확실
공부에는 왕도(王道)가 없다?
교육학자나 심리학자, 정신과의사 등의 말을 종합해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. 공부를 잘하기 위한 ‘필요충분조건’까지는 아니더라도, 지적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‘필요조건’은 얼마든지 있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.
○ 목표가 있어야 성공한다
필요조건의 첫 번째 요소는 성취목표 설정이다.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모든 두뇌 활동이 의식, 무의식적으로 목표를 향해 ‘유도탄’처럼 움직인다고 설명한다. 잠자기 전 끙끙대며 매달렸던 수학 문제가 다음 날 아침 쉽게 풀리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. 잠을 자는 동안에도 뇌는 무의식 수준에서 문제풀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움직인다.
곽금주 서울대 교수(심리학)는 “무엇인가를 성취하려는 욕구는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속성 중 하나”라며 “사람은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가 클수록 많을 것을 시도하며, 그만큼 큰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”고 말했다.
목표를 성취하는 데는 의외로 ‘과정’이 중요하다. 곽 교수는 캐럴 드웩 스탠퍼드대 교수(심리학·‘성공의 심리학’ 저자)의 연구 결과를 예로 들었다. 성취목표 유형이 ‘결과 중심’인 사람은 쉽게 좌절할 수 있지만, ‘과정 중심’인 사람은 한 번의 실패에도 다시 도전하고, 어려운 과제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아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.
결론적으로 성공의 관건은 실행 가능한 목표를 얼마나 구체적으로, 또 효율적으로 설정해 실행하느냐에 달렸다. 김진숙 서울디지털대 교수(상담심리학부)는 “비전을 설정하면 반드시 구체적인 세부목표를 세우고, 그 달성 여부를 어떤 형태로든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○ 공부 잘하려면 정서적 안정 필수적
(See Next Page)